본문 바로가기

license

PMP 강의 요약 3 (체험용)

7장 Cost ==========================>

 

★★★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 단계에 따라 원가추정의 정확성도 높아짐

  1. Initiation 단계: -25% ~ +75% ( ROM - Rough Order of Magnitude)
  2. Budget 단계: -10% ~ +25%
  3. Definitive estimates(설계 후): -5% ~ +10%

     

     

★★ Life Cycle Costing - 프로젝트 선정 기법 - 유지보수, 수정, 폐기 등도포함, 투입되는 비용 전체

 

☆ Cost 관련 주요 개념

  1. Payback Period: 투자원금을 회수할 때까지의 기간
  2. NPV(Net Present Value), PV(Present Value)
    1. 현재가치와미래시점가치관계
    2. PV = fv/(1+r)의 n년승
  3. IRR(Internal Rate of Return) - 내부 수익률. IRR이 높을수록 좋다.
  4. BCR(Benefit cost Ratio) = CBA. 비용 편입 분석
    1. 비용과 수익에 대한 비율. BCR이 1 이상일때 투자함. 매출을의미함.
    2. BCR이 3일 떄, 원가 1, 매출 3, 이익 2
  5. Break even point: 손익분기점
    1. 투자원금을 회수하는 판매수량을 의미함.
  6. 매몰원가 ( Sunk cost )
    1. 이미 발생하여 되돌릴 수 없는 원가
    2. AC
  7. ★★★ Direct / Indirect Cost
    1. 직접비 : 인건비, 팀 훈련비, 직접 재료비, 직접 경비(출장비)
    2. 간접비: 보험료, 세금, 건물임대료 등

       

 

7.1 Plan cost management

  1. Input
    1. Project Management Plan
    2. Project charter
    3. EEF
    4. OPA
  2. Tool & Technique
    1. Expert judgment
    2. Analytical techniques
    3. Meetings
  3. Output
    1. Cost management plan - sub 관리 계획

 

7.2 Estimate Cost - work package 별 원가 구하기. 모든 것을 Cost로...

  1. Input
    1. Cost management plan
    2.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 WBS 의 R.R )
    3. Scope Baseline
    4. Project Schedule ( 일정 )
    5. Risk Register ( Tools & Tech 의 Reserve Analysis(Contingency Reserve 식별) 과 관련 )
    6. EEF
    7. OPA
  2. Tool & Technique
    1. Expert judgment
    2. Analogous(유사 추정 방식 - 기존 프로젝트 base)
    3. Parametric Modeling(함수모델 - Historical data + 기타 변수)/
    4. Top down Estimating - 유사 추정, PM 통밥
      1. 개념정의 단계에서 추정 시
      2. 불확실성이 클 때
      3. 내부의 소규모 프로젝트
    5. Bottom-up Estimating ( WBS의 비용 총 합산 )
      1. 납기와 원가준수가 상당히 중요할 때
    6. Tree-Point Estimates ~ pert
    7. Cost of Quality
    8. ★★★Reserve Analysis

      (Contingency Reserve 식별)

      1. CR - Contingency Reserve - 알고 있는 Risk - Known Risk
        1. 원가기준선에 포함됨
        2. 예산 이동 절대 불가
      2. MR - Management Reserve - 모르는 Risk - Unknown Risk
        1. 원가기준선 포함 안됨
        2. 원가 매꾸기에 사용 가능
    9. Vendor bid analysis
  3. Output
    1. Activity cost Estimates
    2. BOE - Basis of Estimates 단가표
    3. Project Document Updates

 

★★★ Cost of Quality - 무슨 돈이 어디에 해당되는지 확인!!

  1. 예방비용( Prevention Cost ) : 결함 예방에 지출. 임직원 교육, 품질팀 월급, 품질계획 비용.
  2. 평가비용( Appraisal Cost ): 테스트 관련. 측정 평가 등. 감리비용, 완제품 검사비용
  3. 내부 실패비용( Internal Failure Cost): 내부에서 찾아낼 경우. 재검사, 재작업
  4. 외부 실패비용( External Failure Cost): 고객이 찾아낼 경우. 반품/클레임 비용 등

 

7.3 Determine Budget

  1. Input
    1. Cost management plan
    2. Scope baseline
    3. Activity cost estimates
    4. Basis of estimates ~ BOE 단가표
    5. Project schedule
    6. Resource Calendars
    7. Risk register( Tool쪽의 Reserve analysis 중 MR 식별)
    8. Agreements
    9. OPA
  2. Tool & Technique
    1. Cost aggregation - 합계
    2. Reserve analysis ( MR - Management Reserve 식별)
    3. Expert judgment
    4. Historical relationship
    5. ★★★ Funding Limit reconciliation
      1. Page 214
      2. ★★★ Page 213
      3.  

  3. Output
    1. Cost baseline
      1. 참조( 6.6 Develop Schedule 의output Schedule baseline, 5.4 create WBS 의 output Scope baseline)
    2. Project funding requirement - 월별 사용 금액
    3. Project document _updates

       

7.4 Control Cost

  1. Input
    1. Project management plan
    2. Project funding requirement
    3. Work performance data
    4. OPA
  2. Tool & Technique
    1. ★★★ Earned value management - 기성고. 아래쪽에 설명
    2. Forecasting / TCPI - 아래쪽 설명
    3. Performance review
    4. Project management software
    5. Reserve analysis
  3. Output
    1.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2. Cost forecast ( TCPI )
    3. Change request
    4. Project management plan updates
    5. Project document updates
    6. OPA updates

 

★★★ Earned value management - 획득가치관리 - 기성고 . 6문제 정도??

  • 범위, 일정, 원가를 통합관리 하는 방법
  • 미국방성 - 공정진척에 기반한 중도금 지급을 위한 방법
  • 업무(액티비티)별로 원가와 일정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기성고의 핵심개념임
  • 언제 얼마나 원가를 사용할 것인가(Project funding requirement - 7.3) 이 아니라 무엇을 하는데 얼마만큼의 원가를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 수립

     

  1. PV ( Planned Value ) = BCWS(Budgeted Cost for work Scheduled) = 완료예정인 작업의 량
  2. EV ( Earned Value ) = BCWP(Budgeted Cost for work Performed) = 완료된 작업의 량
  3. AC ( Actual Cost) = 실적원가. 현재까지 들어간 돈. Sunk cost
  4. CV ( Cost Variance ) = 원가 차이. 0을 기준으로 높으면 원가 절감. 낮으면원가 초과
  5. CPI ( Cost Performance Index ) = 원가 효율성. 1을 기준으로 높으면 효율 높음
  6. SV ( Schedule Variance ) = 일정 차이. 0을 기준으로 높으면 일정 축소, 낮으면 일정 지연
  7. SPI ( Schedule Performance Index ) = 일정 효율성. 1을 기준으로 높으면 효율 높음
  8. EAC ( Estimate at Completion ) = 현 시점에서 추정한 프로젝트 종료시의 실적 원가
  9. ★★★TCPI = 추정 원가 효율성

     

★★★ 수식 종합

CV = EV - AC

CPI = EV / AC

SV = EV - PV

SPI = EV / PV

BCWR ( 남은 작업량 ) = BAC - EV

ETC ( 현재 CPI 적용시, Typical ) = BCWR / CPI

( 기존 CPI 적용시, Atypical ) = BCWR

EAC = AC + ETC

( 현재 CPI 적용시, Typical ) = AC + BCWR/CPI = BAC / CPI

( 기존 CPI 적용시, Atypical ) = AC + BCWR = AC + ( BAC - EV ) = BAC - CV

TCPI = (BAC - EV) / (BAC - AC)

VAC = BAC-EAC 프로젝트 종료시점 예상되는 원가 >0 절감, <0 초과

 

★ 의미 예

  1. CPI = 0.8, SPI = 0.8 일 경우 -> 원가 효율 낮음. 일정 지연…. Fast tracking으로 일정이라도 맞춰야 함
  2. CPI = 1.2, SPI = 0.8 일 경우 -> 원가 효율 절감. 일정 지연…. Crashing으로 원가 추가 투입

'lic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 강의 요약 5 (체험용)  (0) 2016.03.27
PMP 강의 요약 4 (체험용)  (0) 2016.03.27
PMP 강의 요약 2 (체험용)  (0) 2016.03.27
PMP 강의 요약 1 (체험용)  (0) 2016.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