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cense

PMP 강의 요약 1 (체험용)

※ 1장:포트폴리오/프로그램/프로젝트 구분, EEF/OPA 구분, Triple 제약 조건

 

★ 프로젝트란? A project is a temporary endeavor undertaken to create a unique product, service, or result.

★★★ 프로젝트 관리의 3가지 제약 조건

 

☆ Portfolio > Program > Project > Sub Project

☆ 포트폴리오는 재무관리에서 최적의 분산 투자 안을 의미 함.

★ 포트폴리오란?

  • 조직의 전략적 사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젝트, 프로그램들의 집합
  • 포트폴리오 관리의 핵심은 선정(selection)과 모니터링

★ 프로그램이란?

  • 상호 관련된 프로젝트 그룹
  • 운영 + 프로젝트는 프로그램임

★★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 지원형(Supportive): PMO는 프로젝트 저장소 역할, 통제력 약함
  • 통제형(Controlling): 지원 제공, 준수사항을 요구, 통제력 보통
  • 지시형(Directive): 직접관리, 통제력 높음

★★ EEF(Enterprise Environmental Factors): 정부/산업 환경 요인, 규제, 표준, Policy

  • PMBOK 65 page 참조
  • ISO9000
  • ISO20000
  • CMMI
  • PMIS(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 Etc..

★★ OPA(Organizational Process Assets): PM이 마련. 전사 표준 프로세스와 조직의 지식 포함.

  • Checklist
  • 방법론
  • 양식/절차/템플릿

 

※ 2장: 조직, 프로젝트 Life Cycle. 3~4문제

 

★★★ 조직구조(Organizational Structure)

  1. 기능조직(FM: 조직도에 나와있는 팀장님들. 기능부서장)
    1. 특징
      1. PM 권한이 거의 없으며 기능부서장이 권한을 가짐
      2. 예산을 기능부서장이 통제
    2. 장단점
      1. 장점
        1. 전문가 활용의 유용성이 높음.
        2. 부서원들의 역량강화가 용이
        3. 전사 조직쳬게의 변경 없음
        4. 프로젝트 종료 후 개인의 조직 변경없고, 개인의 성장 경로 제공
      2. 단점
        1. 부서간 책임이 분산(부서간 갈등)
        2. 전체 프로젝트를 책임지는 부서가 없음(통합기능 부재)
        3. 요구사항에 대한 대응 늦음
        4. 부서관점에서 편협된 의사결정
        5. 자원배분 갈등
        6. 개인의 동기부여가 안됨
  2. 매트리스 조직
    1. 특징
      1. 기능조직의 장점과 프로젝트 조직의 장점 실리기 위한 조직
      2. 이중보고의 책임은 PM에 있음
    2. 종류
      1. Weak Matrix: 기능조직의 성격 강함. PM역할은 Coordinator(의사결정권) 혹은 Expeditor가 수행
      2. Strong Matrix: 프로젝트 조직의 성격이 강함. 전담(Full time) PM 혹은 팀원 있음
      3. Balanced matrix: 기능부서장과 PM의 역할이 균형을 이룸
    3. 장단점
      1. 장점
        1. 조직의 자원활용 효율성을 높임
        2. 수직/수평의 정보공유에 기여
        3. 기능 조직과 프로젝트 조직의 장점을 발휘 할 수 있음
      2. 단점
        1. 조직 구성 복잡. 구성원이 이해하기 어려움
        2. 이중보고와 권한에 대한 갈등 발생가능
        3. 관련부서와의 의사결정 기간이 길어짐
        4. 희소자원에 대한 부서간 갈등 발생가능
        5. 기능조직과 프로젝트 조직의 단점만 나타날 수 있음
  3. 프로젝트 조직
    1. 특징
      1. 대부분의 팀원들이 전담

        (PM의 권한 가장 높음)

      2. 동일장소에서 프로젝트 수행
    2. 장단점
      1. 장점
        1. 조직구조 간단함
        2. PM의 작업지시 권한이 높음
        3. 팀원과 PM사이의 의사소통이 쉬움
        4. 의사소통과 보고체계가 명확, 간단함
        5. 동질적인 팀 분위기 형성
        6. 신속한 의사결정 및 집행이 가능
        7. 유사한 프로젝트가 연속될 때 전문가 유지가 용이
      2. 단점
        1. 전사 조직의 자원낭비(중복) 발생
        2. 희소자원의 경우 필요할 때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할 때 확보
        3. 노하우나 기술이 개인에게 의존하여 기술전문성이 제약됨
        4. 구성원간 불화(We-they attitude)
        5. 프로젝트 완료 후 팀원이 소속감에 대한 불안감이 높음(다음 프로젝트 불확실)
        6. 전사표준적용의 일관성 결여 쉬움

 

★★ 이해관계자란? 프로젝트 결과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프로젝트 수행과정 및 프로젝트 팀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이나 조직

  • 프로젝트 내에서 상충관계도 있을 수 있음

★★★ 스폰서? PM위에 있는 임원

  • Role을 말함(직함이 아님)
  • 내부 프로젝트에서는 고객을 말함.
  • 프로젝트 착수 승인, 후원, 자금담당, 검수

★ 포트폴리오 관리자/포트폴리오 검토 위원회 ??

  • 조직마다 다양한 부서에서 업무를 담당. ROI, 프로젝트 가치, 위험 등을 검토
  • 포트폴리오 관리자: 프로젝트 혹은 프로그램의 거버넌스에 대한 책임이 있는 사람
  • 포트폴리오 검토 위원회: 프로젝트를 선정하는 위원회

★ 기능부서장, Functional managers(조직도상의 팀장)

  • 인사권에 대해 기능부서장과 협의해야 함

★ 운영업무 관리자. Operations Management

  • 프로젝트 종료 시점에서 인수인계에 참여(처음부터 참여 가능)

★ 프로젝트 생애주기

  • 프로젝트 통제를 위하여 구분한 단계(Phase)의 집합 - Life Cycle
  • 주요 마일스톤 결정
  • 1 Phase도 하나의 프로젝트가 될 수 있음
  • ★ 프로젝트 단계 종료시점 용어: Kill points, Phase exits, milestones, Phase gates, decision gates

★★ 프로젝트 단계 종류: Phase-to-Phase Relationships

  • A sequential relationship: 일반적. 관리용이. 불확실성 줄임
  • An overlapping relationship: 일정 단축시 사용
  • An iterative relationship: 점진적 상세화. Rolling Wave Planning. 위험 줄임. 관리 복잡도 증가. 장기계획 수립 못함

 

※ 3장: Project Management Life Cycle - 프로세스 그룹

 

★★★ 프로세스 그룹

  1. Initiation
    1. PM 선정
    2. Project charter(실행품의서, 과제품의서/기획서 등으로 불림)
      1. 내가 그 프로젝트의 PM임을 입증
      2. 조직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음
    3. Planning을 위한 인원 선발
    4. Room 꾸미기
    5. Kick-off 미팅
  2. Planning
  3. Executing
  4. Controlling
  5. Closing

☆ CCB(Change Control Board - 변경 관리/통제 위원회)는 계층적으로 구성하는게 좋음

☆ Change log와 Change Request는 프로젝트 종료시 같은 수량으로 끝나야 함

 

 

※ 4장: Project Integration Management

 

4.1 Develop Project Charter

  1. Input
    1. Project Statement of work(SOW) - 작업기술서, RFP(Request For Proposal-제안요청서). 고객 제시
      1. ★★★ SOW에 들어갈 3가지 조건
        1. Business need:요구사항
        2. Product scope description: 제품 범위 기술서
        3. Strategic plan: 전략적 계획
      2. 내부 프로젝트는 스폰서가 제시
      3. 외부 프로젝트는 고객이 제시
    2. Business Case(타당성 분석)
      1. 정량적: NPV, CBA(Cost benefit analysis)
      2. ★★★ 정성적(Feasibility Analysis) 타당성 검토
        1. Market demend
        2. Organizational need
        3. Customer request
        4. Technological advance
        5. Legal requirement
        6. Ecological impacts
        7. Social need
    3. Agreements(계약서)
    4. EEF
    5. OPA
  2. Tool & Technique
    1. Expert Judgment
    2. Facilitation techniques(강한 회의 미팅)
  3. Output
    1. ★★★Project Charter
      1. 목적: PM 입증, 조직 자원 사용 가능
      2. ★★★PM의 책임과 역할(권한) 명시
      3. 러프한 요구사항/프로젝트 설명/리스트 설명/일정/예산 등 명시
      4. 프로젝트 외부의 경영진(스폰서) 혹은 PMO 가 승인

 

4.2 Develop Project Management Plan

  1. Input
    1. Project Charter
    2. Planning Process 들의 output - Knowledge Area의 9개 항목
    3. EEF
    4. OPA
  2. Tool & Technique
    1. Expert Judgment
    2. Facilitation techniques
  3. Output
    1. ★★Project Management Plan
      1. 모든 서브 관리계획서를 통합하고 베이스라인을 통합하여 작성함.
      2. 각 단계별 프로세스들, 변경관리계획서

 

4.3 Direct and Manage Project Work - Executing 단계

  1. Input
    1. Project Management Plan
    2. ★Approved change requests - CCB 승인
    3. EEF
    4. OPA

       

  2. Tool & Technique
    1. Expert Judgment
    2. ★ PMIS -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1. 산출물 보관
      2. 일정관리
      3. 타 시스템과의 I/F - 인사시스템/재무관리스스템 등
    3. Meetings
  3. Output
    1. Deliverables - 산출물
    2. Work performance data - 작업실적data, 진척률
    3. ★★Change requests(프로젝트 팀에 의한 Change requests)
      1. 시정조치(Corrective action) - 일정 관련
      2. 예방조치(Preventive action) - 미래 실적 관련
      3. 결함수정(Defect repair) - 제품에 대한 수정 관련
      4. 갱신(Updates)

 

4.4 M & C - Monitor and Control Project Work

  1. Input(계획 - 실행 놓고 비교)
    1. Project Management Plan
    2. Schedule/Cost forecasts
    3. Validated changes
    4.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5. EEF
    6. OPA
  2. Tool & Technique
    1. Expert Judgment
    2. Analytical techniques
    3. PMIS
    4. Meetings
  3. Output
    1. Change requests - 시정조치(일정과 관련되므로)
    2. ★ Work performance reports - 공식 보고서
    3. ~~

 

4.5 Perform Integrated Change Control - 통합적 변경 통제

  1. Input(계획 - 실행 놓고 비교)
    1. Project Management Plan
    2. Work performance reports
    3. Change requests
    4. EEF
    5. OPA
  2. Tool & Technique
    1. Expert Judgment
    2. Meetings - CCB 미팅
    3. Change control tools -변경 통제 도구
  3. Output
    1. Approved change requests (4.3로 이어짐)
    2. Change log(기각 될 경우)
    3. ★Project management plan updates

     

     

4.6 Close Project or Phase

  1. Input
    1. Project Management Plan
    2. Accepted deliverables (5.5 Validate Scope의 Output) - 종료 확인서
    3. OPA

       

  2. Tool & Technique
    1. Expert Judgment
    2. Analytical techniques
    3. Meetings
  3. Output
    1. Final product, service, result transition(이관)
    2. OPA updates
  4. 유의사항
    1. 공식적인 검수승인
    2. 중단의 경우에도 종료 프로세스 적용
  5. 계약 종료(갑의 종료-외부감리,도장,산출물 전달) -> 행정 종료(을의 종료)

'lic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 강의 요약 5 (체험용)  (0) 2016.03.27
PMP 강의 요약 4 (체험용)  (0) 2016.03.27
PMP 강의 요약 3 (체험용)  (0) 2016.03.27
PMP 강의 요약 2 (체험용)  (0) 2016.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