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장 Risk ==========================>
★★ Risk Management
- 위험은 발생시 최소한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 목표에 영향을 끼칠 불확실한 조건 혹은 이벤트
☆ Risk
- Uncertain event or condition - positive or negative effect
- 위험은 아직 발생하지 않은 문제, 문제는 이미 현실화된 위험
- ★ Risk Tolerance: 리스크 허용 정도. 인장강도,
☆ Known Risk - Contingency Reserve - PM 결정 - 사전에 식별
☆ Unknown Risk - Management Reserve - PMO/스폰서 결정 - Workaround
11.1 Plan Risk Management
- Input
- Project management plan
- Project charter
- Stakeholder register
- EEF
- OPA
- Tool & Technique
- Analytical techniques
- Expert judgment
- Meetings
- Output
- Risk Management Plan - 위험 보고
11.2 Identify Risk - 위험 식별 - PM 뿐만 아니라 모든 이해관계자 참여
- Input
- Risk Management Plan
- 각종 management plan
- Scope baseline
- 각종 estimates
- Stakeholder register
- EEF
- OPA
- ★★★ Tool & Technique - Risk 식별 방법
- 문서 검토 - Documentation reviews
- 정보수집 - Information gathering technique - Group 창의 기법과 비슷
- 브레인스토밍/델파이기법/인터뷰/근본원인분석
- 체크리스트 분석 - Checklist analysis( PMO - 조직 제공 )
- 가정분석 - Assumption analysis - 계획시 어떠한 가정을 하고(인원/자원 등) 계획을 잡으면 모두 위험임
- 도식화 기법 - Diagramming techniques
- Cause & effect diagram, influence diagram system or process flow chart
- ★★★ SWOT analysis: 강/약점, 위기/기회 분석
- Expert judgment
- Output
- Risk Register
11.3 Perform Qualitative Risk Analysis - 정성적 분석 - Risk 우선 순위 소팅을 위한 - PI 숫자 사용
- Input
- Risk Management Plan
- Scope baseline
- Risk register
- EEF
- OPA
- Tool & Technique
- Risk probability and impact assessment
- Probability and impact matrix - P I matrix - 5점 만점
- Risk Value = 5점 척도에 의한 값 - 정성적
- 위험 노출도(Risk Exposure) = P(발생가능성) * I(영향력)
- Risk data quality assessment
- Risk categorization
- RBS ( Risk Breakdown Structure ) - 위험의 원인을 카테고리화해서 계층적으로 분류
- Risk urgency assessment
- Expert judgment
- Output
- Project documents updates
- 위험목록 Risk register update
- ★★★ Watchlist - 시험 꼭!!
- 정의? 중요하지 않은 위험 리스트
- Output은 어디에서? 11.3 Perform Qualitative Risk Analysis
- 대책 - 없음. 위험등록부 등록
11.4 Perform Quantitative Risk Analysis - 정량적 분석 - EMV(Cost - 돈) 값 구하는게 목적
- 11.3에서 식별된 리스크 중 우선순위가 높은 리스크에 대해서, 전체 프로젝트 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로 분석
- 정량적 분석 필요치 않을 수도 있음.
- Input
- Risk Management Plan
- Cost management plan
- Schedule management Plan
- Risk register
- EEF
- OPA
- Tool & Technique
- Data gathering and representation techniques(인터뷰, 확률분포)
- ★★★ Quantitative risk analysis and modeling techniques
- ★★★ 민감도 분석(Sensitive analysis)
- 여러 위험 중 목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 식별(나머지 고정, 하나만 영향 분석)
- Tornado diagram
- EMV ( Expected monetary value analysis ) 기대 화폐 가치
- 동전 앞 뒤면 예제
- ★★★ Decision Tree Analysis 에서 활용
- 계산 문제
- EMV = (수주 6억 - 개발원가 5억) + (성공확률 30% * 10억 매출 + 실폐확률 70% * 0.5억 매출)
- Modeling -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 보험 등에 사용
- Expert judgment
- Output
- Project documents updates
- 위험목록 Risk register update
★ Risk Register 내용과 프로세스 관계
11.5 Plan Risk Response
- 효과적인 위험관리를 위한 1명 책임자 지정
- 위험대응활동을 위한 일정(6.6 What-if scenario Analysis), 자원, 예산(contingency Reserve)를 프로젝트 관리계획서에 반영
- Input
- Risk Management Plan
- Risk Register
- Tool & Technique
- Strategies for negative risks or threats
- Strategies for positive risks or opportunities
- Contingent response strategies - 비상 대책
- Expert judgment
- Output
- Risk Management Plan Updates (WBS 업데이트 포함)
- Project documents updates
★★★ 위험대응계획 수립
- 대응계획수립 >> 위험이 Trigger(임계치)에 도달 >> 즉시, 비상계획 (Contingency Plan) 발현
- Risk 대응계획대로 했는데, 아무 효과가 없을 경우 >> Fallback Plan(변경된 대응책, Plan B, IT의 시스템 빽)
- Risk 대응 후, 잔존 리스크( Residual Risk - 대응책 수립 안하는 Risk - watchlist와 많이 겹치지만 100%는 아님) 있을 수 있음.
- Secondary Risk (2차 위험) - 대응 계획 수행 후 발생하는 Risk
- 프로젝트 진행 중 새로운 Risk 식별 됐을 경우 >> Risk 목록에 등록 >> 정성 >> 정량 분석 >> 등으로 다시 진행
- 식별하지 않은 Risk 터졌을 경우 >> Problem이 되며, 이때는 Workaround를 시행 + 위험대응계획서 바로 변경
☆ 위험 대응계획 수립시 유의 사항
- 위험은 변한다 ( P I 값 변함. 계속적 점검)
- 위험은 예방하는 것임( Risk Prevention Vs Problem Solving)
★★★ Negative - 위험대응계획 ~이부분책확인
- 위험 완화( Mitigation ) - 위험 충격 줄임.. 방음벽, Prototype 개발 등
- 위험 전가( Transferring ) - 협력업체에 이관, 보험/계약이행보증 등
- 위험 회피( Avoidance ) - 위험 원인 제거. Plan 자체를 바꿈. 협력 업체를 바꿨다.
- 위험 수용( Acceptance ) - 받아 들임. 사소한 충격, 천재지변, 휴가간 팀원 발생 등
★★★ Positive - 긍정 위험 및 대응계획
- 활용( Exploit ) - 시험에서 가장 많이 답이 됨.. 완료시간 단축을 위해 가장 유능한 자원 할당(신기술 적용, 기술업그레이드)
- 공유( Share ) - 협력업체와 관련됨. 합작회사와 MOU 수립 등
- 증대( Enhance ) - 활용과 구분 어려움...이때는 그냥 활용 선택 - Crashing 만 Enhance 확실함.
- 수용( Acceptance ) - 기회가 온다면 수행, 적극적 추구 않는다
11.6 Control Risks
- Input
- Project Management Plan
- Risk Register
- Work performance data
- Work performance report
- Tool & Technique
- ★★★ Risk reassessment / Risk Audit - 구분하는 문제
- Risk Reassessment 재평가
- 신규 리스크 식별
- 기존 리스크의 재평가 - PI 재평가
- 유효기간이 끝난 리스크의 삭제
- Risk Audit 심사
- 리스크 대응책의 효과성 검토
- 리스크 프로세스의 효과성 검토
- 리스크 근본원인 식별 등
- Variance and trend analysis
- Technical performance measurement
- Reserve analysis / Meetings
- Output
-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 Change request
- Project management plan updates
- Project documents updates
- OPA Updates
12장 Procurement 조달 - 협력 업체 사용 관련 ==========================>
☆ 12.1 구매 및 획득 계획 수립/RFP >> 12.2 제안서/계약 >> 12.3 요청/감시/통제 >> 12.4 계약 종료
☆ 계약 관리
- 판매자(을), 구매자(갑) - 계약협상의 가장 큰 목적은 양자의 관계를 보호하는 것임
- 외주계약.. 위험 전가
- 일반 조건, 특수 조항, 제안서, RFP 등도 계약서에 포함
12.1 Plan Procurement management - 조달 관리
- Input
- Project management plan
- Requirement documentation
- Risk register
- Activity resource requirement
- Project Schedule
- Stakeholder register
- EEF
- OPA( 조직의 구매 및 계약절차 )
- Tool & Technique
- ★★★ Make or Buy Analysis ( 조직의 예산, 장기적인 전략) - 내부? 외주?
- Expert judgment
- Market research
- Meetings
- Output
- Procurement Management Plan
- Procurement SOW ( 계약상세범위 ) - 계약서 만들기 위해서 이 문서를 참조함.
- Procurement document ( 조달문서 … RFI - 여러 업체에 정보 요청.. 모아서 RFP 만듬 )
- 주의 사항
- 너무 경직(엄하면) - 공급자의 더 나은 아이디어(ㅣ)를 제한할 수 있음
- 너무 Free - 갑이 여러 업체의 RFP 비교가 어려움.
- ★★★ Source selection criteria - 협력업체 선정 평가표(중요 사항:유사 프로젝트 수행 경험. 기술 역량 등)
- Make or Buy Decisions
- Change request
- Project document updates
★★★ Contract Type - 계약 종류에서 많으면 4문제까지 나옴.
- 확정가 계약 ( FP, Fixed Price = Lump Sum Contract )
- 갑에게 유리
- 종류
- 확정 고정가 ( FFP, Firm Fixed Price ) - 성과 미달로 인한 원가상승은 판매자(을) 책임
- 성과급 가산 고정가 ( FPIF, Fixed Price Incentive Fee ) : 목표 산정 후 인센티브. 갑이 원하는 바 달성
- ★★★ 가격조정조건부 고정가 ( FP_EPA ) : 환율/부동산 가격 등의 원가 상승(하락)에 따른 조정을 특별 조항에 추가..외부 조건으로부터 쌍방 보호
- 원가정산 계약 ( CR, Cost-Reimbursable Contract ) - 원가 외에 적정이익 보장.
- 을에게 유리. 갑이 을을 계속적으로 점검해야 함. 을이 Loose 해 질 수 있음
- 종류
- 고정수수료 가산 원가 ( CPFF, Cost Plus Fixed Fee ) : 원가 정산 + 1억( Fixed Fee )
- 판매자의 성과에 따라 수수료가 변하지 않는다..
- 성과급 가산 원가 ( CPIF, Cost Plus Incentive Fee ) : 원가 정산 + 알파( Incentive Fee )
- 판매자 성과에 따라 Incentive Fee 나옴.
- 혼합형 계약 ( T & M, Time and Material Contract) - 시간/자재 계약 방식
- 예) Plan 은 작업간 FS 방식이었으나, 설계도 80% 상태에서 다음 공정을 위해 철근 납품 시작(Fast tracking). 즉 전체 계약 금액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CR ) 단가는 확정되어 있음( FX ) 혼합
- 정리
- 공급자가 가장 높은 위험 - Fixed Price(FP)
- 수요자가 가장 높은 위험 - CPPC ( Cost Plus Percentage of Cost )
- 업무 범위 명확할 때 - Fixed Price(FP)
- 업무 범위 명확하지 않을 때 - Cost Reimbursable (CR)
- ★★★ 긴급하게 계약을 체결 - Time & Material 계약
★★★ 계약 공식
AC - 실원가, TF - Target Fee, TC - Target Cost, SS - 비율
- CPPC = AC + AC * %
- CPFF = AC(실원가) + TF(target Fee)
- CPIF = AC + TF + (TC - AC) x SS
- FPIF = min (CPIF, CP)
- PTA = TC + (CP - TP) / BS
최대소비시점, FPIF 계약에서 판매자가 감당할수 있는 최대 손실 가격
12.2 Conduct Procurement (조달 수행)
- Input
- Procurement management plan
- Procurement documentation ( RFP )
- Source selection criteria
- Seller proposal
- Project document
- Make-or-buy decision
- Procurement SOW
- OPA
- Tool & Technique
- ★★★ Bidder conferences ( 사업/제안 설명회 ) 시험… 목적? 어느프로세스에서?
- 목적: 조달사항 충분히 전달. 공정성을 위해 모든 질의 사항은 공유
- 사업 설명회는 어느 프로세스에서? 12.2 조달 수행
- Proposal evaluation techniques 제안평가기술
- ★★ Independent Estimates(독립 추정 - 기준(benchmark)에 가까운곳 선택)
- Screening System(채로 떨굼)
- Weighting System(가중치 평가)
- Expert judgment
- Advertising ( 공고 )
- Analytical techniques
- Procurement negotiation
- Output
- Selected seller
- Agreements - 계약서
- Resource calendar - 협력업체의 Resource
- 참고 - 프로젝트의 Resource calendar 는 어디서?? 9.2
- Change request
- Procurement Management Plan updates
- Project documents updates
12.3 Control Procurement
- Input
- Procurement management plan
- Procurement documents
- Agreements
- Approved change requests
- Work performance reports
- Work performance data
- Tool & Technique
- ★ Contract Change Control System ( 계약변경통제절차 ) - 조달을 수정할 수 있는 프로세스 정의
- Procurement performance review
- Inspection and Audits ( 납품물 확인 )
- Performance Reporting
- Payment System
- ★★ Claims administration
- 이의 제기된 변경 - Claims, dispute, appeal 이라함.
- 갑을이 클레임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 바로 소송이 아니라 ★★★대안적 분쟁해결절차 ( ADR ) 을 밟아야 함 (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
- page 384 참조
- Output
-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 Change requests
- Project management plan updates
- Project documents updates
- OPA Updates( 의사소통문서, 지불요청, 성과평가 )
★★★ Page 381
- 팀원이 협력업체의 제품을 확인 -> QC
12.4 Close Procurement
- 계약 중단도 계약종료의 한 유형
- 계약종료절차 계약서 명시
- 해결되지 않은 분쟁은 계약종료 후 소송으로 처리 가능
- Input
- Project management plan
- Procurement document
- Tool & Technique
- ★ Procurement Audits
- Procurement negotiation
- Record management system ( 기록 업데이트 및 보관 )
- Output
- Closed procurement
- OPA Updates( 협력업체 Lessons Learned )
☆ 계약방식
- 집중계약방식(구매팀)
- 장점 - 여러 프로젝트의 계약 통합 발주/전문가 진행
- 단점 - 많은 시간 소요, 특수 사항 반영 어려움
- 분산계약방식(PM)
- 장점 - 특수 사항 반영, 신속
- 단점 - 비용 높아질 가능성 있음. 전문성 결여
13장 Stakeholder 이해관계자 ==========================>
☆ 개요
- 이해관계자의 불만 - 프로젝트 이슈로 관리
- 관리 목적: 이해관계자의 만족한 상태 유지,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 참여하도록 함.
13.1 Identify Stakeholder - 이해관계자 식별, 관심사항 참여형태 영향력 등 문서화
- Input
- Project Charter
- Procurement Documents - RFP 협력업체의 이해관계자
- EEF
- OPA
- Tool & Technique
-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Expert judgment
- Meetings
- Output
-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 Change requests
- Project management plan updates
- Project documents updates
- OPA Updates
☆ 이해관계자 유형 분류 모델
- ★ Power(권한) / Interest (관심도) ( 5.1 ) - 가장 많이 쓰이는 유형 모델
★ 이해관계자 유형별 관리 전략
- P-Power, I-Interest, H-High, L-Low
- P-H, I-H : Manage Closely
- P-H, I-L : Keep Satisfied
- P-L, I-H : keep informed
- P-L, I-L : Monitor
13.2 Plan Stakeholder Management - 적극적 참여 유도
- Input
- Project management plan
- Stakeholder register
- EEF
- OPA
- Tool & Technique
- Expert judgment
- Meetings
- Analytical techniques
- 기대 수준과 비교, 현 수준과 갭이 클 경우, 갭 줄이는 활동 수행
- ★★ Engagement Level - 참여 수준 - Page 403
- Unaware 무지: 영향력 인식하지 못함
- Resistant 저항: 영향력 인식, 변화에 저항
- Neutral 중립: 영향력 인식, 지원/저항 하지 않음
- Supportive 지원: 영향력 인식, 변화 지원
- Leading 이끔: 영향력 인식, 성공을 위해 적극 참여
- Output
- Stakeholder management plan
- Project Document updates
13.3 Manage Stakeholder Engagement
- Input
- Stakeholder management plan
- Communication management plan
- ★★ Change log - 이해관계자에게 보고
- OPA
- Tool & Technique
- Communication Method
- Interpersonal skills
- Management skills
- Output
- ★★ Issue log
- Change requests
- Project management plan updates
- Project documents updates
- OPA Updates
13.4 Control Stakeholder Engagement
- Input
- Project management plan
- ★ Issue log
- Work performance data
- Project documents
- Tool & Technique
-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 Expert judgment
- Meetings
- Output
-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 Change request
- Project management plan updates
- Project documents updates
- OPA Updates
'lic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 강의 요약 4 (체험용) (0) | 2016.03.27 |
---|---|
PMP 강의 요약 3 (체험용) (0) | 2016.03.27 |
PMP 강의 요약 2 (체험용) (0) | 2016.03.27 |
PMP 강의 요약 1 (체험용) (0) | 2016.03.27 |